다가오는 봄 꽃가루 알레르기 원인과 예방법 체크하고 나들이가요
이제 2월도 10일 남짓 남으면서 봄이 오길 기다리고 있습니다만 봄에는 황사와 함께 꽃가루가 날려서 고생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이미 매화가 피기 시작했다는 소식과 함께 봄꽃이 필 준비를 하고 있는데요. 꽃이 피기 시작하면 예쁘긴 하지만 꽃가루가 날려서 꽃가루 알레르기로 고생하시는 분들도 생각보다 많더라고요. 그래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과 함께 미리 예방법을 한번 체크 후 봄나들이를 가면 어떨까 합니다.
오늘의 포스팅은
[ 꽃가루 알레르기 ] 에 대해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꽃가루 알레르기
꽃가루 알레르기는 '계절성 알레르기 비염'이라고도 합니다. 그래서 검색하면 꽃가루 알레르기 비염이라고 비염 단어가 따라붙는데요.
재채기와 콧물, 코막힘은 물론이고 목이 간질간질하여 기침을 하기도 합니다. 꽃가루 알레르기는 호흡기뿐 아니라 눈에도 영향을 주는데요. 공기 중에 꽃가루가 날리다 보니 눈이 가렵거나 눈물이 나기도 하고 심하면 충혈이 되기도 합니다.
거기에 꽃가루가 피부에 닿아 가렵거나 드물게 두르러기가 발생하기도 하는데요. 그래서 꽃가루 알레르기가 있으신분들은 꽃 근처에 가는 것을 피하기도 합니다.
꽃가루 알레르기 원인
꽃가루 알레르기는 공기 중에 날린 꽃가루가 우리의 면역 체계에 과민반응을 일으키게 하면서 발생하는 알레르기 질환이랍니다. 아무래도 꽃가루의 영향을 받다 보니 꽃이 많이 피는 봄, 여름, 가을에 많이 발생하는데요. 특히 봄, 가을이 더 심하다고 합니다.
꽃가루라고 해서 모든 꽃에 알레르기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고 주요 원인은 '특정 식물'에서 날리는 꽃가루라고 합니다. 꽃이라고 모두 바람이 불어 꽃가루가 날리기보다는 바람을 통해서 꽃가루를 퍼뜨리는 종들이 있다고 합니다. 그 종들이 공기 중으로 쉽게 꽃가루를 퍼뜨려서 알레르기를 일으키기 쉽다고 합니다.
봄 (3~5월)
생각외로 봄에는 나무의 꽃가루가 알레르기를 일으키기 쉽다고 합니다.
참나무, 소나무, 자작나무, 버드나무, 오리나무 등이 있는데 특히 자작나무와 참나무 꽃가루가 강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고 하니 심하신 분들은 꼭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여름 (6~8월)
봄엔 나무 꽃가루라고 하면 여름에는 풀 꽃가루가 원인이 된다고합니다.
호밀풀이나 오리새풀 같은 잔디류와 볏과 식물인 목초류들이 그렇다고 하는데요. 꽃가루라고 해서 꽃만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나무나 풀 같은 식물에서 꽃가루 알레르기 원인이 많았네요.
가을 (9~11월)
가을의 경우, 잡초의 꽃가루가 원인이 많이 된다고 합니다. 돼지풀, 쑥, 환삼덩굴같은 것들인데요. 특히 돼지풀과 쑥이 심한 반응을 유발한다고 하니 조심하셔야겠습니다.
의외로 꽃가루가 적은 꽃
의외로 꽃가루가 적거나 바람이 아닌 벌이나 나비를 통해 꽃가루를 옮기는 종은 알레르기를 잘 일으키지 않는다고 하는데요. 장미나 튤립, 백합, 국화, 해바라기와 같은 꽃들은 벌이나 나비가 꽃가루를 옮기는 종이기 때문에 알레르기를 잘 유발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꽃가루 알레르기 예방법
꽃가루 알레르기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먼저 꽃가루가 많은 날엔 밖으로 외출 하는 것을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바람이 강한 날엔 바람으로 꽃가루를 퍼뜨리는 특정 식물 근처에 안 가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나가더라도 나의 호흡기와 눈, 피부를 보호해 주기 위한 마스크나 안경 착용을 하시면 좋겠습니다.
외출 후에는 꽃가루가 옷에 묻어있을 수 있기에 옷을 바로 갈어주시고 손씻기와 세안은 필히 해주세요.
꽃가루가 바람을 타고 집안으로 들어올 수있으므로 꽃가루가 심한 날엔 집 환기를 최소화하며 공기청정기를 사용해 주면 좋겠습니다. 실내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도 꽃가루 알레르기 예방법 중 하나랍니다.
무엇보다 꽃 가루 알레르기가 심하다면 병원에서 알레르기 검사를 받아 정확한 원인을 확인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신이 어떤 꽃가루 알레르기를 가지고 있는지 알고 있다면 조금이라도 일상생활에 지장을 덜 주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춘곤증 극복법 – 봄철 피로 쫓는 생활 습관과 음식 가이드 (1) | 2025.05.10 |
---|---|
에너지 회복 음식 – 피로할 때 꼭 먹어야 할 건강 식재료 TOP 7 (3) | 2025.05.09 |
감염의 일종인 위장염 원인과 증상, 위장염 완화 및 예방법 (0) | 2025.02.12 |
감기 독감 걸렸을 때 하면 안되는 5가지. 감기 빨리 낫는법 (2) | 2024.01.26 |
피로회복 영양제, 약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것은 ? by.약먹을시간 (0) | 2021.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