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감기 독감 걸렸을 때 하면 안되는 5가지. 감기 빨리 낫는법

by 마다요트 2024. 1. 26.
반응형

감기 독감 걸렸을 때 하면 안 되는 5가지. 감기 빨리 낫는 법

제가 지금 독감에 걸린 지 6일째입니다. A형 독감에 걸려서 5일 동안 집에서 자체 격리를 하며 병원에서 처방받은 약을 다 먹었는데요. 아직도 코가 간질간질하고 재채기가 나며 콧물이 나서 감기 빨리 낫는 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빨리 나으려면 감기 독감 걸렸을 때 하면 안 되는 5가지를 지켜주어야한다고 하는데요. 함께 보도록 하겠습니다.

 

감기 독감 걸렸을 때 하면 안되는 5가지

1. 운동

운동은 평소에 꾸준히 하는 건 좋습니다. 하지만 감기에 걸렸을 때 하는 운동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기침감기가 심한 분들은 더욱 주의해야 한다고 합니다. 운동을 하게 되면 호흡이 가빠지고 그로 인해 많은 양의 외부 공기가 폐와 기관지로 바로 유입됩니다. 감기나 독감에 걸리면 호흡기는 아직 감기와 싸우고 있기 때문에 정상이 아니죠. 거기다 열을 동반한 감기나 독감은 면역 체계가 바이러스와 싸우기 바쁘기 때문에 운동을 하게 되면 면역기능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감기 독감에 걸렸을 때는 가능한 운동을 삼가고 푹 쉬면서 회복하는 게 좋다고 합니다. 감기가 나은 후에는 가벼운 운동을 시작으로 2주 정도 뒤 점차적으로 평소 운동량으로 회복하는 것을 추천한다고 합니다. 만약 감기가 오래간다면 그만큼 몸이 회복하기 위한 에너지가 부족한 상태라는 것이므로 운동보다는 질 높은 수면을 하려 노력하고 회복에 최대한 집중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2. 사우나

사실 감기 걸렸을 때 하면 안 되는 것 중 사우나라고 해서 저도 놀랐습니다. 흔히 뜨뜻하게 지지고 땀을 빼고 나면 몸이 빠르게 회복한다고 알고 있기 때문인데요. 이것이 잘못 알려진 상식이라고 하니 꼭 기억하셔야겠습니다.

특히 혈압이나 당뇨, 고지혈증 같은 기저질환이 있는 분들이라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고 합니다. 체온조절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체온이 급격하게 올라가는 사우나의 경우 위험할 수가 있으며 사우나하면서 단시간에 땀을 많이 흘려 탈수가 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열이 오른 후에도 잘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고 합니다.

만약 감기가 아주 아주 초기 올락 말락 하는 시점이라면 뜨거운 물이 아닌 따뜻한 물로 샤워를 해주면 오히려 땀이 살짝 나면서 해열이 되고 이때 푹 쉬어주면 감기가 진행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합니다.

 

3. 목 건조

목과 코의 점막이 메마르게 되면 호흡하면서 외부에서 침투하는 바이러스나 세균을 잘 걸러주지 못하게 됩니다. 그로 인해 감기에 자주 걸리게 되고 잘 낫지 않게 됩니다. 그래서 목을 건조하게 두는 것이 아닌 촉촉하게 해 주면 목감기도 금방 나을 수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감기에 걸리면 수분 보충을 많이 하라는 것이죠. 특히 따뜻한 물을 많이 마시는 게 좋다고 합니다.

물과 함께 목 건조를 막을 수 있는 것이 있으니 바로 침인데요. 침은 점도가 있어서 물과 달리 목을 코팅시켜 주는 효과가 있고 항균 효과도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입안에 입을 고이게 할 새콤한 맛의 과일차라던지 사탕을 물고 있는 것도 하나의 팁이 되겠습니다.

 

4. 보양식 

사우나처럼 하면 안 되는 리스트에 보양식이 있어서 놀랐는데요. 보통 잘 먹어야 금방 낫는다고 해서 보양식 종류를 많이 먹게 됩니다. 하지만 감기나 독감 등을 앓게 되면 소화흡수 기능을 포함한 오장육부의 모든 기능이 떨어지게 됩니다. 모든 기능이 떨어진 상황에서 칼로리가 높고 기름진 음식이 많은 대부분의 보양식은 소화하기에도 부담스러울 수 있다고 합니다. 소화하는데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쓰게 되면 상대적으로 면역복구나 세포 재생에 쓸 에너지가 줄어들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위장에 최대한 부담이 덜한 음식을 먹어주는 것이 감기 빨리 낫는 법이라고 합니다.

 

5. 밤에 땀

본래 밤에는 낮보다 체온이 떨어지기 때문에 땀이 나면 안 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땀이 난다면 분명 문제가 있는 것이겠죠. 나의 몸에 잔열이 남아있기 때문에 밤에도 식은땀이 나는 것인데요. 이 식은땀을 많이 흘리게 되면 급격하게 땀이 식으면서 체온을 뺏아가면서 문제가 생깁니다. 그것을 그대로 방치하면 다시 한기가 들면서 콧물 재채기가 시작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럴 때는 잠에서 깼거나 아침에 일어났을 때 재빨리 마른 옷으로 갈아입어서 체온을 뺏기지 않도록 해주어야 하며 계속 밤에 땀이 난다면 빠른 시일 가까운 한의원에 가서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감기 독감 걸렸을 때 하면 안 되는 5가지 시작부터 앗 운동을 하면 안되는 거였어? 놀라며 살짝 반성을 하게 되었습니다. 집에서 쉬는 내내 그래도 운동은 해야겠다 싶어서 실내 자전거를 매일 같이 탔었거든요. 거기다 운동하고 나서 땀은 내주는 것도 좋다며 열심히 했는데 그냥 정말 푹 쉬어주는 게 더 빨리 낫는 법이었나 봅니다. 다들 감기 독감 조심하세요~ 

반응형